· React
자주 쓰이는 컴포넌트들을 직접 구현하고, 그 원리를 분석하는 시간을 가지려고 한다.그 첫번째로 모달창을 구현해보았다.전체 코드는 글의 맨 아래부분에 작성해두었다.  - 기본적인 모달 구현- 화면 외곽을 누르면 닫히도록 처리  type ModalProps = { isOpen: boolean; onClose: () => void; children: ReactNode;} 모달에 전달될 프롭스들의 타입을 선언해준다. export const Modal = ({ isOpen, onClose, children}: ModalProps) => { // 코드 내용 작성} 메인 함수에 프롭스를 타입과 함께 전달한다.  useEffect(() => { const handleEsc = (e: KeyboardEvent..
· React
25년도 버전으로 프로젝트 기본 세팅법을 기록해두려고 한다.vite, react, typescript 를 기본으로 해서 공통적으로 쓰이는 라이브러리에 대해서 추가했다.  1. 웹스톰으로 vite, react, typeScript 로 프로젝트 생성   2. Yarn berry 사용하기rm -rf node_modulesrm -rf package.lock.jsonyarn set version berryyarn install 3. zero-install 설정 (.gitignore 맨 아래에 코드 복붙).yarn/*!.yarn/cache!.yarn/patches!.yarn/plugins!.yarn/releases!.yarn/sdks!.yarn/versions  4. 웹스톰 설정 들어가서 package manger..
· 운영체제
### 버퍼(Buffer)"데이터를 처리하기 전에 잠시 저장하는 공간"- 버퍼는 입출력(I/O) 속도 차이를 해결하기 위해 사용된다.- CPU와 디스크, 네트워크 간의 데이터 교환에서 속도가 다른 장치간의 데이터를 원활하게 주고받기 위해서 사용한다.- 데이터를 순차적으로 저장하고 처리한다.### 캐시(Cache)"자주 사용하는 데이터를 빠르게 접근하기 위해 저장하는 공간"- 캐시는 반복적으로 사용되는 데이터를 저장하여 성능을 향상시킨다.- CPU, 웹 브라우저, DB 등에서 자주 사용하는 데이터를 미리 저장한다.- 데이터를 빠르게 읽는데에 초점을 두고있다.
지은세
Jieunsse.dev